본문 바로가기
AI

AI (Artificial Intelligence):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

by 테크걸 2023. 5. 30.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은 존 설 교수가 1980년에 최초로 사용한 개념입니다.

여기에서 약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사고처리과정을 모방하여 학습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인공지능이고, 강인공지능이란 사람과 같은,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발휘하는 인공지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약인공지능 (Weak AI, Narrow AI)

1.1 약인공지능의 개념

약인공지능은 매우 특정분야, 또는 좁은 분야에 한정해서 기능합니다.

약인공지능은 인간과 같은 전방위적인 지능은 없지만, 특정분야에 있어서 인간의 사고처리기능을 시뮬레이션하며,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고속으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1.2 약인공지능의 응용분야

약인공지능은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빅데이터를 실용가능한 유용한 정보 형태로 변환시킵니다.

또한, 다양한 정보의 패턴인식을 통하여 예측을 산출합니다.

메타(페이스북)의 뉴스피드, 애플 시리 그리고 구글 어시스턴트 등이 그 예이며, 음성인식 및 자연언어처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 패턴인식을 통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1.3  약인공지능의 한계점

약인공지능은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 및 데이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고객응대를 하는 챗봇의 경우 미리 고안되고 입력된 데이터에 한하여 답변을 수행하며, 예측불허한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스스로 자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인간이 수행할 수 없는 방대한 데이터를 초단시간에 수행해낼 수는 있으나, 어디까지나 이미 주어진 알고리즘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인간과 같이 다양한 경험이 축적되어 전혀 다른 상황에서도 기억과 사고로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낼 수 있는 수준까지의 기능 수행은 되지 않고 있습니다.

 

2. 강인공지능 (Strong AI, General AI)

2.1 강인공지능의 개념

강인공지능, 또는 범용인공지능 (General AI) 이란 특정문제해결 뿐만 아니라 모든 상황에서 유연한 생각과 사고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창작활동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으로서 거의 인간과 같은, 또는 인간보다 더 뛰어난 수준의 인공지능을 의미합니다.

 

사실상 가장 이상적이고도 궁극적인 수준으로서의 인공지능이며, 현재까지는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AI 인공지능은 약인공지능이며, 지능을 실제로 가진 것이 아니고 지능을 갖고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얘기하기도 합니다.

 

강인공지능이란 인간의 개입이 전혀 없이 AI 스스로가 인간과 같이 사고하고 생각하고 유추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2.2 강인공지능의 기능

 

강인공지능은 인간과 동일한, 또는 인간보다 뛰어난 단계로서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경험을 통해서 지식을 축적하고, 전혀 다른 상황에서 그 지식을 활용한다.

인간은 경험을 통해서 배우며, 그 경험과 지식은 전혀 다른 상황 속에서 또다른 형태로 활용하며 의사결정을 해나갑니다. 강인공지능이라면 미리 사전에 입력된 알고리즘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전에 처리한 프로세스를 전혀 다른 상황속에서도 창조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스스로 사고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인간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 외에도 스스로 사고하며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강인공지능 역시 과거에 주어진 데이터의 패턴인식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창조적인 사고 및 유연한 변형, 또한 새로운 계획수행 등의 스스로의 사고 능력이 필요합니다.

 

- 상식적인 사고와 행동을 한다.

인간의 지적능력 중 현재 AI 와 가장 다른 점들 중 하나가 상식 이라는 영역입니다.

인간은 아무리 이전의 데이터와 기존의 경험이 있다고 하더라도 복잡다단하고 예측 불허의 상황 속에서, 기존의 정답과 다를지라도 그 상황 속에서 가장 상식적인 사고와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강인공지능 역시 이러한 수준의 상식 이라는 영역에서의 능력이 필요합니다.